* 본 포스팅은 필자가 개인적으로 학습한 내용 정리 및 리뷰를 위해 포스팅합니다.
새로운 기능을 추가하는 경우 원본 파일에 커밋하기 애매한 경우가 있다. 안전하게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고 싶으면
복사본(branch)을 만들자!
● branch 생성
■ git 명령어
git branch 브랜치이름
▲ 프로젝트 사본 생성
git switch 브랜치이름
▲ 방금 만든 branch로 이동
다시 main branch로 되돌아가는 경우 (git switch main 설정에 따라 master인 경우가 있다)
▲ 만약 coupon branch를 만들었다면 지금 상황은 이러할 것
coupon branch에서 작업한 내용은 main branch에 아무런 영향이 없다!
branch와 commit 내역을 한눈에 그래프로 보고 싶다면 ~
git log --graph --oneline --all
● branch 합치기
짰던 코드가 마음에 들어서 원본코드가 있는 main / master branch로 합치고 싶어요!
▲ branch를 합치는걸 merge라고 한다
■ git merge 명령어 및 과정
git switch main
git merge 브랜치명
▲ 1. main / master branch로 이동
2. git merge 브랜치명 입력
3. 입력한 브랜치명의 코드들이 main / master 브랜치로 합체
▲ merge 후 log!!
※ 주의사항
merge를 할때 main branch와 복사 branch의 같은 파일, 같은 줄을 수정했을 경우
merge conflict 발생!!
하지만 친절하게도 어떤 부분이 겹쳤는지 알려준다 ~
▲ 겹친 코드 중 원하는 코드를 남기고
git add 파일명
git commit -m '메시지'
결론
협업과 안전한 코드관리에 한 발자국 더 앞으로 나아가게 되었다. 깃.. 익숙해질 때까지 익히자
출처 : https://codingapple.com/course/git-and-github/
'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git] 되돌아가자(git restore, revert, reset) (0) | 2022.08.27 |
---|---|
[git] 다양한 merge (3-way, fast-forward, squash, rebase) (0) | 2022.08.27 |
[git] git add, commit, diff를 쉽게 하는 법!(VSCode) (0) | 2022.08.19 |
[git] git add, commit을 이용한 파일 기록 (0) | 2022.08.19 |
[git] git 설치 및 세팅 (0) | 2022.08.19 |
댓글